짠테크

🧠 Needs Met vs Page Quality – 헷갈릴 때 완전 정리 가이드

rsvibe 2025. 4. 18. 21:05
반응형

📌 목차

  1. 두 기준의 핵심 차이
  2. Needs Met – 평가 기준 & 예시
  3. Page Quality – 평가 기준 & 예시
  4. 가장 헷갈리는 상황에서의 구분법
  5. 실전에서 쓸 수 있는 공식 & 팁

1. 두 기준의 핵심 차이

항목Needs Met (NM)Page Quality (PQ)
무엇을 평가? 검색 쿼리와 결과의 관련성 (의도 충족 여부) 해당 웹페이지 자체의 품질, 신뢰도, 작성자 등급 등
관점 사용자 관점 – “이 검색 결과가 나한테 유용한가?” 콘텐츠 관점 – “이 웹사이트는 믿을 만한가?”
기준 질문 “이 결과가 검색 의도를 얼마나 잘 충족했는가?” “이 페이지는 신뢰성·정확성·작성 품질이 좋은가?”
대표 평가 요소 관련성, 정보 깊이, 위치 일치, 언어 일치 등 출처, 저자, 목적, 광고/스팸, 업데이트 여부 등

2. 🧭 Needs Met – 평가 기준 & 예시

✅ 평가 기준 요약

  • 사용자의 **검색 의도(Query Intent)**가 얼마나 잘 충족되었는가
  • 정보의 관련성, 정확성, 깊이, 지역·언어 일치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

🧪 예시

QueryResultNM Rating이유
“how to boil an egg” 정확한 요리법 제공 블로그 Highly Meets 정보 정확 & 사용 의도 완전 충족
“Seoul Starbucks near me” 뉴욕에 있는 스타벅스 지도 Fails to Meet 위치 불일치
“buy iPhone 14 case” 관련 제품 없는 블로그 글 Slightly Meets 제품 판매가 아닌 일반 글 → 구매 의도 미달

3. 🛡️ Page Quality – 평가 기준 & 예시

✅ 평가 기준 요약

  • 웹페이지의 콘텐츠 품질, 신뢰성, 전문성, 투명성 등을 기반으로 평가
  • 특히 YMYL(Your Money or Your Life) 관련 주제일수록 엄격하게 봄

🧪 예시

Page TypePQ Rating이유
신뢰 있는 언론사 뉴스 High+ 출처 명확, 업데이트, 광고 없음
저자 불명 블로그 Medium 정보는 있지만 신뢰도 불분명
무작위 링크 + 다운로드 유도 Lowest 사기, 해킹 가능성 있음

4. 가장 헷갈리는 상황에서의 구분법

❓ 사례 1

Query: “symptoms of diabetes”
Page: 블로그 형식, 내용은 유사하지만 출처 없음

  • Needs Met: Moderately Meets → 검색자가 찾던 정보는 있음
  • Page Quality: Low or Lowest → 건강 관련인데 출처 불명, 신뢰 부족

📌 정보는 있지만, 신뢰할 수 없는 출처라면 NM은 유지, PQ는 낮게


❓ 사례 2

Query: “best laptop 2024”
Page: 네이버 블로그 리뷰, 제품 리스트 있음

  • Needs Met: Highly Meets → 비교 리스트 있음, 쿼리 충족
  • Page Quality: Medium or Low → 저자 정보 없음, 광고 포함

📌 관련성은 있지만 품질은 떨어질 수 있음 = NM 높고 PQ 낮을 수 있음


5. 실전에서 쓸 수 있는 공식 & 팁

💡 헷갈릴 때 이렇게 생각하자:

질문기준
“결과가 사용자의 쿼리에 맞았는가?” → Needs Met
“이 웹사이트 자체는 신뢰할 수 있는가?” → Page Quality

✍️ 평가 문장 쓸 때 이렇게 표현하자

  • Needs Met 예시:
    “The result satisfies the user intent with accurate and relevant information.”
    “The page does not provide any helpful result for the query, so it Fails to Meet.”
  • Page Quality 예시:
    “The website lacks E-E-A-T signals such as authorship and source citation.”
    “This is a low-quality page with excessive ads and no clear purpose.”

✅ 요약 정리

기준평가 관점질문평가 예시 키워드
Needs Met 사용자 중심 “도움됐는가?” 관련성, 위치, 언어, 의도
Page Quality 콘텐츠 중심 “신뢰 가능한가?” 출처, 저자, 목적, 광고, 업데이트

📖 “Needs Met은 유저의 마음을, Page Quality는 콘텐츠의 진심을 본다.” – AI 평가자의 철학

반응형